수면의 질 평가
Pausai는 사용자의 수면 단계 정보를 바탕으로 수면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주요 평가지표는 총 수면 시간, 수면 효율, 각 수면 단계 비율 등으로 구성됩니다.
수면 단계 비율 (sleep_ratio) 분류된 수면 단계 정보를 활용하여, 수면 기간 동안 각 수면 단계가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합니다. 수면 단계 비율은 수면 기간(time_in_sleep_period) 중 각성을 제외한 얕은 수면, 깊은 수면, REM 수면 단계의 비율로 나누어집니다. 사용자의 수면 구조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아래 네 가지 비율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합니다:
각성 비율 (wake_ratio)
얕은 수면 비율 (light_ratio)
깊은 수면 비율 (deep_ratio)
REM 수면 비율 (rem_ratio)
수면 단계별 잠복기 수면의 질 평가는 각 수면 단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인 잠복기(latency) 데이터를 통해서도 이루어집니다.
수면 잠복기 (sleep_latency): 사용자가 수면을 시작하는 데 걸린 시간입니다. 일반적으로 수면 잠복기가 길어지면 **REM 수면 잠복기 (rem_latency)**도 함께 길어집니다.
얕은 수면 잠복기 (light_latency): 사용자가 수면을 시작하고 처음 감지되는 수면 단계는 항상 얕은 수면이므로, 얕은 수면 잠복기의 값은 항상 0으로 설정됩니다.
4단계 수면 분석 판정
Pausai는 다양한 수면 관련 데이터를 종합하여 자체 산정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4단계로 판정합니다. 이 과정은 수면의 질을 다각도로 평가하고, 보다 정교한 맞춤형 수면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분석에 활용되는 주요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수면 정보: 총 수면 시간, 각성 시각, 기상 시각 등 수면의 기본 데이터를 포함합니다.
수면 점수 (sleep_index): 수면의 양, 효율, 그리고 각성 횟수를 기반으로 산출된 수면의 질 평가 점수입니다.
수면 효율 (sleep_efficiency): 수면 시간 중 실제 수면을 취한 시간의 비율로, 수면의 연속성과 깊이를 평가합니다.
호흡 불안정: 수면 중 안정적인 호흡과 불안정한 호흡을 기록하며, 호흡의 질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코골이 (snoring): 수면 중 발생하는 코골이의 빈도와 지속 시간 등 코골이 데이터는 수면 중 호흡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수면 주기 (sleep_cycle): 비렘 수면과 렘 수면이 반복되는 주기를 나타내며, 각 주기의 지속 시간과 횟수를 분석합니다.
이들 데이터를 Pausai의 자체 산정 알고리즘으로 종합 분석하여, 수면의 질을 평가하고 사용자의 수면 상태를 4단계 수면 분석 판정으로 구분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수면의 질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맞춤형 수면 개선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Last updated